The 공부하기/논문

연구주제 1. 교사효능감 -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

Joy_mi 2025. 1. 6. 17:26
반응형


교사효능감이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의 2 요인으로 구분되어야 한다는 점은 교사효능감 연구의 세계에서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(임성택, 2011).

"일반적 교수효능감"과 "개인적 교수효능감"은
교육학에서 교사의 자기효능감(self-efficacy) 개념을 세부적으로 나눈 하위 요소로, Bandura의 자기효능감 이론에 기반한다.
다음은 두 개념의 정의, 특성, 관련 연구 및 영향을 정리한 내용이다.

---

1. 일반적 교수효능감 (General Teaching Efficacy)

  • 정의

교사가 교육의 전반적인 효과와 학습자의 학습 가능성에 대해 가지는 믿음.
예: "적절한 교육 방법을 사용하면 대부분의 학생들을 성공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."

  • 특성

교육이 학생들의 행동이나 성과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신념.
교사가 자신의 통제 범위를 넘어선 요소(예: 가정 환경, 사회적 배경)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.
집단적이고 구조적인 교수환경에 대한 믿음과 관련.

  • 관련 연구 및 영향

일반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는 학생들에게 더욱 적극적인 동기부여 전략을 사용.
사회적 기대, 교육정책, 학교 환경 등이 일반적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침.
교사의 사회적 책임감과 연결될 가능성이 있음.

---

2. 개인적 교수효능감 (Personal Teaching Efficacy)

  • 정의

교사가 자신의 교수 기술, 역량, 노력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 정도.
예: "나는 내가 맡은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다."

  • 특성

교사의 개인적인 기술, 지식, 노력에 대한 자신감.
개인적 교수효능감은 교사의 주관적인 자기평가에서 비롯됨.
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직결되며, 학생과의 상호작용에서도 중요한 역할.

  • 관련 연구 및 영향

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는 새로운 교수법을 시도하고 문제 상황에서도 적극적으로 대응.
교사의 전문적 성장, 자기계발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.
학생들의 학업 성취도, 참여도,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.

---

3. 비교: 일반적 교수효능감 vs. 개인적 교수효능감


---

4. 관련 이론 및 연구


Bandura의 자기효능감 이론(1977)

자기효능감은 개인이 특정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, 동기와 성과에 영향을 미침.
교사의 자기효능감은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으로 구분되며, 이는 교사의 행동 및 학생 성취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.

Tschannen-Moran & Woolfolk Hoy (2001)

교수효능감을 교사가 자신이 효과적으로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정의.
개인적 교수효능감과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함께 학생 성취와 교사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.

Gibson & Dembo (1984)

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교사의 수업 준비, 교육 목표 설정, 교수 전략 선택 등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고 연구.




반응형